feat: 로그인 UI 작업 [#1]
type
을 작성합니다.issue
번호를 작성합니다.
feat
: 새로운 기능의 추가fix
: 버그 수정docs
: 문서 수정style
: 스타일 관련 기능 (코드 포맷팅, 세미콜론 누락, 코드 자체의 변경이 없는 경우)refactor
: 코드 리펙토링comment
: 필요한 주석 추가 및 변경test
: 테스트 코트, 리펙토링 테스트 코드 추가rename
: 파일, 폴더 명 변경remove
: 파일 삭제move
: 파일 이동change
: 큰 API 변경chore
: 빌드 업무 수정, 패키지 매니저 수정 (ex .gitignore 수정 같은 경우)init
: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main # 출시 가능한 production 코드를 모아두는 branch
ㄴ dev # 개발을 위한 코드를 모아두는 branch
ㄴ feature #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branch
ㄴ fix # 버그를 고치기 위한 branch
ㄴ hotfix # 배포 후 긴급한 버그 수정을 위한 branch
ㄴ refactor # 새로운 기능이나 버그 수정 없이 현재 구현을 개선하기 위한 branch
main
: 출시 가능한 production 코드를 모아두는 branchdev
: 개발을 위한 코드를 모아두는 branch용도에 맞게 branch명 앞에 아래의 type
을 작성합니다. type
뒤에는 한글로 작성하고, -
로 구분하여 명령문(현재시제)으로 branch 작업 내용을 간략하게 작성합니다.
/*브랜치 타입*/
feature: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branch
fix: 버그를 고치기 위한 branch
refactor: 새로운 기능이나 버그 수정 없이 현재 구현을 개선하기 위한 branch
// [type]/[name]
// ex) feature/로그인-페이지-추가